홍보센터

뉴스클리핑 [씨플랫폼] 7월 5주차 뉴스클리핑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7회 작성일 25-07-28 13:00

본문

최상단 메인 로고
2025-07-28 월요일
포커스부분
뉴스 이미지과기장관 "GPU 5만장 앞당겨 확보…국내 AIDC 활성화 총력"(종합)2025.07.24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4일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장 확보 전략에 대해 "1만장을 먼저 확보하고 단계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기를 빠르게 당기려고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https://www.yna.co.kr/view/AKR20250724032051017?input=1195m)
뉴스 이미지과기 장관 "견고한 사이버 보안 없이 AI 3대 강국 불가능"2025.07.27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배경훈 장관이 27일 서울 송파구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KISC)를 방문해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따라 높아지고 있는 사이버 위협의 대응체계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https://www.yna.co.kr/view/AKR20250727012700017?input=1195m)
뉴스 이미지HPE, 2025 데이터 서비스 이노베이션 데이 성료2025.07.25
HPE는 24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2025 HPE 데이터 서비스 이노베이션 데이(2025 HPE Data services Innovation Day, 이하 2025 HPE DID)’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디지털데일리(https://www.ddaily.co.kr/page/view/2025072509112441137)
뉴스 이미지국가대표 AI 후보기업 10곳 압축…네카오·SKT·KT·NC 등 1차 관문 통과2025.07.25
국가대표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맡을 10개 팀이 최종 1차 관문을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공모에 접수한 15개 정예팀의 제출서류에 대해 서면평가를 진행한 결과 10개 팀으로 압축했다고 25일 밝혔다.
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5_0003267242)
뉴스 이미지AI는 지금 초거대 AI 네트워크 전쟁…GPU 넘어 '연결'에 답 있다2025.07.20
거대 인공지능(AI) 모델의 발전이 데이터센터의 숨은 약점인 '네트워크'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 경쟁을 넘어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연결하는 기술이 AI 시대의 새로운 승부처로 떠올랐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GPU 등 AI 연산 장치의 성능은 6만 배 이상 향상됐지만 이들을 잇는 네트워크 기술 발전은 30배 수준에 그쳤다. AI 모델의 파라미터가 조 단위로 커지면서 소프트웨어의 요구 수준은 급격히 높아졌지만 이를 뒷받침할 하드웨어 인프라가 따라가지 못하는 '성능 불균형'이 심화된 탓이다. 이러한 병목 현상은 AI 시스템 전체의 효율 저하로 이어진다. 과거 데이터센터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애플리케이션 구동 외에 가상화, 네트워킹, 스토리지, 보안 등 온갖 부가 작업을 떠안아왔다. 특정 연산에 특화되지 않은 CPU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데이터 처리의 비효율이 발생했다. AI 병목 해결사 'DPU'…엔비디아 독주 속 경쟁 본격화 이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데이터처리장치(DPU)가 주목받고 있다. DPU는 CPU를 대신해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각종 입출력(I/O) 작업을 오프로드(Offload)하고 가속하는 특화 반도체다. 이를 통해 CPU는 본연의 연산에 집중하고 데이터센터는 ▲성능 향상 ▲운영 비용 절감 ▲비용 효율적 확장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다만 DPU 시장은 현재 특정 기업의 기술 종속이라는 그림자에 갇혀 있다. AI 인프라 시장의 절대 강자인 엔비디아가 자사의 독자 규격 '인피니밴드(InfiniBand)'를 기반으로 GPU와 DPU를 함께 공급하며 폐쇄적인 생태계를 구축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고객사들은 다른 업체의 장비를 쓸 때 호환성 문제에 부딪혀 결국 엔비디아에 락인 된 상태다. 엔비디아의 독주 체제에 균열을 내려는 시도는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AMD는 지난 2022년 DPU 스타트업 '펜산도'를 약 인수하며 추격에 나섰고 인텔 역시 '마운트 에반스'와 같은 인프라처리장치(IPU)로 경쟁에 뛰어들었다. 최근에는 중국이 정부와 빅테크의 지원에 힘입어 DPU 스타트업의 새로운 산실로 떠오르는 추세다. 중커위수(Yusur Tech), 윈바오즈넝(Jaguar Microsystems) 등 수많은 현지 기업들이 엔비디아의 아성에 도전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격전지 속에서 국내에서는 망고부스트가 사실상 유일하게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플레이어로 평가받는다. 망고부스트, SW·HW '풀스택' 역량…'엠엘퍼프 1위'로 기술력 입증 지난 2022년 김장우 서울대 교수가 10년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한 망고부스트는 개방형 표준 기술인 '이더넷' 기반의 DPU 솔루션으로 시장을 공략한다. 엔비디아의 폐쇄 생태계와 달리 망고부스트의 DPU는 이더넷을 지원하는 모든 장비와 호환돼 다양한 업체의 GPU나 신경망 처리장치(NPU)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회사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아우르는 '풀스택' 역량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주요 제품으로는 ▲DPU 카드인 'GPU부스트'와 '스토리지부스트' ▲DPU 칩렛·IP ▲AI 시스템 소프트웨어 'LLM부스트' 등이 있다. 망고부스트의 기술력은 객관적인 성능 지표로도 입증됐다. AI 추론 성능을 측정하는 '엠엘퍼프(MLPerf) 인퍼런스 5.0' 벤치마크에서 AMD 인스팅트 '엠아이300엑스(MI300X)' GPU 4개 노드를 활용해 '라마2 70B' 모델 기준 역대 최고 처리량을 기록했다. 이는 망고부스트의 소프트웨어가 멀티노드 환경에서 선형적인 성능 확장을 이끌어낸 결과다. 스토리지 성능을 비교하는 '엠엘퍼프 스토리지 1.0'에서도 경쟁사인 뉴타닉스, 해머스페이스 등을 압도하며 1위를 차지했다. 망고부스트는 더 적은 수의 스토리지 노드를 사용하고도 더 많은 GPU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며 높은 성능을 보였다. 창업 2년 만에 4천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은 망고부스트는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도 가속하고 있다. 칩 단에서는 프로그래머블 반도체(FPGA) 제조사인 AMD, 인텔과 협력하고 서버 단에서는 삼성전자, 등과 공동 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망고부스트의 성과를 두고 "엔비디아가 AI 분야에서 모든 주목을 받는 동안 AMD는 파트너인 망고부스트가 엠엘퍼프에 최초로 멀티노드 제출을 하는 등 업계 지원을 유치하며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디넷코리아(https://zdnet.co.kr/view/?no=20250719183145)
뉴스 이미지IBM, 2분기 소프트웨어 실적 기대치 '하회'…AI·메인프레임 수요는 선방2025.07.24
IBM이 올해 2분기 실적에서 주력 소프트웨어(SW) 부문의 성장세가 시장 기대치를 밑돌면서 주가가 5% 하락했다. 반면 인공지능(AI) 특화 기능이 추가된 메인프레임 수요가 증가하면서 인프라 부문은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다.
지디넷코리아(https://zdnet.co.kr/view/?no=20250724094523)
뉴스 이미지HPE, ‘인스턴트온’ 무선 액세스 포인트 취약점 두 건 패치…보안 심각도 최고 수준2025.07.22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ewlett-Packard Enterprise, 이하 HPE)는 자사 ‘인스턴트온’(Instant On) 무선 액세스 포인트 제품군에서 ...
보안뉴스(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8294&page=1&kind=1)
뉴스 이미지KQC, 크립토포에이와 국내 첫 양자보안 HSM 상용화2025.07.25
한국퀀텀컴퓨팅(KQC, 대표 김준영)이 캐나다의 크립토포에이와 국내 최초로 양자 내성 암호(PQC) 기반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상용화에 본격 나선다.
지디넷코리아(https://zdnet.co.kr/view/?no=20250723091345)
뉴스 이미지AI 개발자용 워크스테이션 경쟁치열…델·HP·레노버 라인 가격은2025.07.26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시대를 맞아 특정 분야 AI(버티컬 AI) 소프트웨어 개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AI 개발자·전문가용 워크스테이션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뉴스 1(https://www.news1.kr/it-science/general-it/5859172)
뉴스 이미지‘스포츠 테크’로 인니 DX시장 뚫은 아이티센클로잇2025.07.23
“오는 10월 건립 예정인 인도네시아국가체육위원회(KONI) 신청사에 아이티센클로잇을 위한 별도 상주 공간을 마련했습니다. 민간 기업이 들어서는 최초 사례죠.” (루크만 자자디쿠수마 KONI 사무총장)
매일경제(https://www.mk.co.kr/news/it/11375557)
삼성전자, IBM 차세대 프로세서에 '3D 패키징' 양산 공급2025.07.27
삼성전자가 첨단 패키징 기술로 IBM과의 협력을 강화한다. IBM이 최근 출시한 차세대 프로세서에 3D 적층 기술을 성공적으로 양산 공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디넷코리아(https://zdnet.co.kr/view/?no=20250725115916)
마켓업데이트부분
뉴스 이미지가트너 “SASE, 2028년까지 연평균 26% 성장”2025.07.22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SASE 도입률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가트너의 ‘SASE 플랫폼을 위한 매직 쿼드런트 2025’에서는 2028년까지 SASE의 연평균 성장률이 26%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데이터넷(https://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848)
뉴스 이미지다후아, DSS OneBox 경량형 워크스테이션 출시2025.07.22
글로벌 영상 중심 AIoT 솔루션 및 서비스 기업 다화테크놀로지(다후아)가 중소기업 전용 경량형 워크스테이션 DSS OneBox를 새롭게 선보였다. DSS One...
보안뉴스(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8284&page=2&kind=3)
뉴스 이미지클라우드 시장 3위' 구글, 반전 기회 잡았다…서비스나우와 12억 달러 계약 체결2025.07.25
구글 클라우드가 소프트웨어 기업인 서비스나우와 대규모 계약을 체결하며 점유율 확대에 청신호가 켜졌다. 25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구글 클라우드는 최근 서비스나우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12억 달러(약 1조6천5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지디넷코리아(https://zdnet.co.kr/view/?no=20250725171433)
뉴스 이미지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 DaaS 지원분과위원회 공식 출범2025.07.24
한국국클라우드산업협회는 국내 서비스형데스크톱(DaaS) 산업의 제도적 기반 마련과 기술 확산을 위한 DaaS 지원분과위원회를 공식 출범하고 24일 제1회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DaaS 지원분과위원회는 국내 DaaS 산업의 본격적인 생태계 조성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협회 산하에 구성된 국내 최초의 DaaS 전문 협의체다. KT클라우드,
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4_0003265403)
뉴스 이미지리벨리온, AI 칩렛으로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 나선다2025.07.23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이 시스템 반도체 설계 기업 코아시아세미 손잡고 데이터센터용 AI 칩렛(Chiplet) 개발에 나선다. 리벨리온은 코아시아세미와 'AI 칩렛 개발 및 공급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고 23일 밝혔다. 칩렛 기술은 여러 개의 작은 반도체 칩을 각각 제작한 후 하나의 패키지로 결합하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 단일
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3_0003262914)
뉴스 이미지경남도, 네이버클라우드와 AI 산업 육성·도정 접목 '시동'2025.07.21
경남도는 21일 오전 도청 회의실에서 네이버클라우드와 협력회의를 열고 제조산업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 방향과 도정 전반의 AI 기술 융합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앞서 지난 8일 김명주 경제부지사의 네이버 AI연구소 방문 당시 논의한 '경남형 AI 산업 혁신 방안'의 구체적 실행계획 수립을 위해 마련됐다. 경남도 윤인국 산업국
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1_0003260083)
뉴스 이미지한전, 전력데이터·AI 활용 소상공인 에너지 절감 추진2025.07.25
한국전력은 전통시장 상인회, 누리플렉스와 전력데이터 및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소상공인 맞춤형 에너지 절감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한전은 지난 24일 서울 동작구 성대전통시장에서 한전 ICT운영처장, 성대전통시장 상인회장, 누리플렉스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소상공인 에너지 절감 서비스 개발'을 위한
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5_0003265966)
뉴스 이미지KOSA-하나금융, SW 기업 'AI 전환' 맞손…"글로벌 진출 돕는다"2025.07.27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와 하나금융그룹이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전환 가속화와 글로벌 진출을 공동 지원한다.
지디넷코리아(https://zdnet.co.kr/view/?no=20250727111441)
뉴스 이미지"정보 유출 원천 차단" 시흥시, 공공클라우드 보안 강화2025.07.22
경기 시흥시가 각종 정보 외주 유출을 원천 차단하는 등 클라우드 보안관리 체계를 강화했다. 22일 시에 따르면 최근 KT·네이버·가비아 등 공공 클라우드의 보안 강화를 위해 위협 관리시스템(TMS)과 온라인 용역 통제 시스템을 도입했다. 아울러 클라우드의 이상 트래픽을 분석한 가운데 외부 접근이 전면 통제된다. 특히 시는 최근 용역사 직원이
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2_0003261274)
뉴스 이미지LGU+, AWS와 손잡고 sLLM '익시젠' 글로벌 진출2025.07.20
LG유플러스가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인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회사가 자체 개발한 sLLM(소형 언어모델) '익시젠(ixi-GEN)'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전 세계 기업과 개발자는 AWS의 '아마존 베드록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익시젠 기반의 새로운 AI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됐다. AWS의 아
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0_0003258537)
KBS, 네이버 손 잡았다…AI 기술 협력2025.07.24
KBS와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 고도화와 방송 콘텐츠를 접목한다. 양사는 24일 경기 성남시 네이버1784에서 AI 분야 포괄적 업무 제휴를 맺었다. AI 기술 주도권과 공공성을 확보하고, 첨단 미디어 기술과 파생 콘텐츠·서비스 개발에 앞장설 방침이다. K컬처 세계적 확산을 위해 전략을 세우고, AI 지식재산권 쟁점 관련 해결 방안을 찾기로
뉴시스(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4_0003265570)

문의하기

솔루션·영업·데모신청·교육 등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문의하기